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알고있으면 좋은 오디오 용어 정리
    알고있으면 좋은 양분 2024. 10. 28. 23:29

    1.버퍼 사이즈 (Buffer Size)

    정의: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할당되는 메모리 크기입니다.

    용도: 디지털 오디오 작업에서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샘플의 양을 정의합니다. 작은 버퍼 사이즈는 낮은 레이턴시(지연 시간)를 제공하지만, CPU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주며 오디오 끊김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 큰 버퍼 사이즈는 안정성을 증가시키지만, 레이턴시가 증가하게 됩니다.

     

    2.업샘플링 (Upsampling)

    정의: 낮은 샘플레이트의 오디오 신호를 더 높은 샘플레이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.

    용도: 오디오 품질을 개선하거나 특정 프로세서를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이는 대개 안티앨리어싱 및 처리 후의 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여 품질을 향상시킵니다.

     

    3.다운샘플링 (Downsampling)

    정의: 고주파 샘플레이트의 오디오 신호를 낮은 샘플레이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.

    용도: 데이터 용량을 줄이거나 특정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. 주의해야 할 점은 다운샘플링 과정에서 필요한 주파수의 음질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     

    4.샘플레이트 (Sample Rate)

    정의: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1초 동안 몇 개의 샘플이 수집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, 일반적으로 Hz로 표시됩니다.

    용도: 샘플레이트가 높을수록 주파수 범위가 넓어지며, 주파수의 재현성이 높아집니다. 일반적인 샘플레이트로는 44.1kHz (CD 품질), 48kHz (영화, TV), 96kHz 또는 192kHz (스튜디오 녹음)가 있습니다.

     

    5.비트 깊이 (Bit Depth)

    정의: 각 오디오 샘플에서 기록되는 비트 수로, 오디오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결정합니다.

    용도: 비트 깊이가 높을수록 더 많은 오디오 신호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16비트 (CD 품질), 24비트 (프로페셔널 오디오 녹음) 등이 사용됩니다. 높은 비트 깊이는 더 나은 음질과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제공합니다.

     

    6.오버샘플링 (Oversampling)

    정의: 오디오 신호를 실제 필요한 샘플레이트 이상으로 샘플링하여 퀄리티를 높이는 방식입니다.

    용도: 오버샘플링은 앨리어싱을 줄이고, 프로세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. 이는 특히 디지털 신호 처리의 퀄리티를 개선하는 데 유용합니다.

     

    7.앨리어싱 (Aliasing)

    정의: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낮은 주파수로 잘못 재현되어 원본 신호와 다르게 들리는 현상입니다.

    용도: 샘플링할 때 샘플레이트가 부족하여 고주파 신호가 잘못 해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나이퀴스트 이론을 참조하여 적절한 샘플레이트를 설정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8.나이퀴스트 이론 (Nyquist Theorem)

    정의: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, 샘플레이트가 신호의 최고 주파수보다 최소 2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.

    용도: 설계 시, 이 이론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의 변환 과정에서 앨리어싱을 피하기 위한 적정 샘플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9.디더링 (Dithering)

    정의: 비트 깊이를 줄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세한 잡음을 추가하는 과정입니다.

    용도: 오디오 파일의 비트 깊이를 줄일 때 뭉글거림이나 고르지 못한 소리의 질 저하를 방지하여 최종 믹스의 소리를 보존합니다. 이는 특히 24비트에서 16비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LU (Loudness Units)

    정의: LU는 음량의 단위로, 상대적인 음량 수준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LU는 특정 기준을 기반으로 하며,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.

    용도: LU는 일반적으로 LUFS와 함께 사용되어 직접적인 음량 레벨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
     

    2.LUFS (Loudness Units relative to Full Scale)

    정의: LUFS는 "Full Scale"에 대한 상대적인 음량 단위로, 전체 디지털 스케일에 대한 소리의 음량을 측정합니다.

    용도: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표준 음량 레벨을 설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 LUFS는 믹스의 일관성을 높이고 사운드의 가청 범위를 최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-14 LUFS는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목표 레벨로 설정됩니다.

     

    3.LKFS (Loudness, K-weighted, relative to Full Scale)

    정의: LKFS는 LUFS와 유사하며, K-weighting 필터를 적용한 측정 값을 나타냅니다. K-weighting은 인간의 귀가 특정 주파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식을 반영한 것입니다.

    용도: 방송 업계에서 사용되는 표준으로, 박식자와 방송 신호를 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. LKFS는 전체적인 소리의 톤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
     

    4.dBFS (Decibels relative to Full Scale)

    정의: dBFS는 디지털 오디오의 최대 레벨 기준을 정한 단위로, 0 dBFS가 클리핑이 발생하는 최대 레벨입니다.

    용도: 믹스 및 마스터링에서 신호가 너무 과도하게 설정되지 않도록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. dBFS는 아날로그 장비에서의 최대 레벨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에서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5.dBTP (Decibels True Peak)

    정의: True Peak는 신호의 실제 최대값을 측정하는 값으로, 디지털 신호가 DAC(디지털-아날로그 변환기)를 통해 아날로그로 변환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클리핑을 포함합니다.

    용도: 믹스가 적절히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, 특히 믹스된 곡이 방송이나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배포될 때 중요합니다. True Peak 레벨이 0 dBFS를 초과함으로써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6.RMS (Root Mean Square)

    정의: 오디오 신호의 평균적인 압력을 나타내는 수치로, 특정 시간 구간 내에서의 평균적인 신호 세기를 측정합니다.

    용도: 전체 믹스의 다이내믹감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며, 일반적으로 마스터링 시 함께 고려되는 요소입니다. 경우에 따라 LUFS와의 비교로 사용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EBU 및 관련 레벨 측정 기준

    EBU R 128 표준 및 ITU-R BS.1770-2에 따라 모든 현재 사양의 레벨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합니다.

     

    1.LM1

    LM1은 음원의 전체 음량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, 전체적인 사운드 레벨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     

    2.DIAL 모드 (Dial Mode)

    이 모드는 소리가 감지될 때만 라우드니스를 측정하고 평균을 내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이로 인해 유의미한 소리의 순간에만 측정을 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3.타임 스케일 (Timescales)

    Loudness Range: 곡 전체에 걸쳐 다이내믹 레인지를 LU(라운드니스 유닛) 값으로 표시하여, 최저 음량과 최대 음량 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이 과정에서 최저 음량의 상위 10%와 최대 음량의 상위 5%는 분석 결과에서 제외됩니다.

     

    4.Momentary

    400ms(0.4초)의 가산 평균을 사용하여, 100ms 간격으로 측정된 최대 값을 표시하는 기능입니다. 이 기능은 빠른 변화에 반응하여 순간적인 음량 피크를 추적합니다.

     

    5.Short Term

    짧은 시간(예: 3초)을 가산 평균하여 매 초마다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이 기능은 최대 및 최소 값을 함께 보여 주는 미터를 포함하여, 음량의 순간적인 변화와 전체적인 경향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.

     

    쇼트텀 루드니스

    정의: 짧은 시간(일반적으로 3초, 10초 등) 동안의 평균 루드니스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
    용도: 쇼트텀 루드니스를 사용하면 특정 트랙의 씩씩한 부분들 혹은 소리의 큰 변화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쇼트텀 RMS (Root Mean Square)

    정의: 짧은 시간 동안의 평균 신호 레벨을 나타내며, 일반적으로 1초 또는 3초의 범위에서 계산합니다.

    용도: 특히 다이내믹한 부분을 포함하는 곡에서, 세부적인 신호의 강도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.

     

    쇼트텀의 중요성

    쇼트텀 측정은 믹스 작업에서 각 부분의 음량 변화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. 이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이 어떻게 반응하는지, 어떤 순간에 클리핑이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    쇼트텀은 믹싱 작업의 이상적인 레벨을 감독하고, 듣기 경험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. 소비자 경험에 있어서는 더욱 쾌적한 청취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6.Long Term

    이 미터는 곡 전체의 음량을 가산 평균하여 표시합니다. 이를 통해 전체 작품에서의 라우드니스 변화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, 일관된 음량 레벨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
     

    7.True Peaks (Intersample Peaks)

    디지털 도메인에서 신호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된 데이터로 표현됩니다. 이 과정에서 신호는 아날로그로 변환될 때 디지털에서의 크기를 초과하는 신호로 변형될 수 있으며, 이를 True Peaks 혹은 Intersample Peaks로 측정합니다. 이 기능은 믹스의 품질을 보장하고, 클리핑 문제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