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8주차(믹싱)로직프로 정독하기 2024. 7. 12. 14:20
8주차 믹스에 대한 포스팅
1. 어떤 것이 패닝이 되어 있는가?
곡의 각 요소를 적절히 패닝해 믹스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넓히는 것은 중요합니다. 아래는 예시입니다:
- 피아노: Left 20 (L20)
- 기타 리프: Stereo Left 63, Right 63 (L63, R63)
- 메인 악기: Center (0)
- 플럭: Left 20 (L20)
- 신스: Right 20 (R20)
팁: 주요 악기는 중앙에 위치시키고, 보조 악기는 좌우로 적절히 배치해 공간감을 극대화합니다.
2. 무엇이 믹스를 넓히는가?
믹스를 넓히는 주요 요소들:
- 기타 리프: 넓은 스테레오 이미지
- Atmos: 배경 사운드 및 공간감 추가
- 백그라운드 보컬: 추가적인 보컬 레이어 및 하모니
- 리버브 보컬: 공간감을 증가시킴
- 퍼커션: 효과적인 스테레오 분산
팁: 스테레오 이펙츠(코러스, 리버브 등)를 사용해 소리를 더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습니다.
3. 가장 큰 것부터 가장 작은 것까지 나열
믹스의 요소들을 크기 순으로 나열합니다:
- 보컬
- 메인 악기
- 스네어
- 킥
- 베이스
- 기타 리프
- 하이햇
- 피아노
- 퍼커션
- Atmos
팁: 중요한 요소는 더 크고 뚜렷하게, 덜 중요한 요소는 더 작게 배치해 믹스의 중심을 만듭니다.
4. 가장 가까운 것부터 멀리 있는 것까지 나열
믹스 내에서 거리감을 나타냅니다:
- 보컬
- 스네어
- 메인 악기
- 킥
- 808
- 기타
- 하이햇
- 피아노
- 퍼커션
- Atmos
팁: 리버브와 디케이를 조절해 요소의 거리감을 효과적으로 설정합니다.
5. 킥과 베이스의 주파수 위치
킥과 베이스 주파수 배치를 설정해 로우엔드를 정리합니다:
- Sub Bass: 40Hz (킥보다 낮음)
- Kick: 60Hz
- Bass: 80Hz ~ 250Hz
팁: 사이드체인 컴프레션을 사용해 킥과 베이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합니다.
6. 보컬에 영향을 주는 악기
보컬의 주파수 대역과 간섭할 수 있는 악기를 식별합니다:
- 주요 간섭 악기: 스네어, 기타
팁: EQ를 사용해 보컬과 다른 악기가 충돌하지 않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, 보컬의 주요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고 기타나 스네어의 해당 주파수를 잘라내어 보컬이 더 명확하게 들리도록 합니다.
7. 보컬의 위치
보컬이 믹스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설정합니다:
- 보컬이 악기 위에 있는 경우: 멀티밴드 컴프레션을 사용해 보컬의 주요 주파수 대역을 강조합니다.
- 보컬이 악기 안에 있는 경우: 독립적인 존중을 잃지 않도록 보컬을 조정합니다.
팁: 각 악기의 주파수 공간과 값이 잘 조화되도록 주파수 분배를 신경 씁니다.
8. 밝기와 어두움 확인
보컬과 다른 요소들의 명도(밝고 어두움) 차이를 설정합니다. 레퍼런스를 참고해 조정합니다.
9. 레퍼런스를 참조하여 조정
레퍼런스 트랙을 몇 가지 참조하여 사운드, 너비, 깊이, 높이를 최적화합니다.
10. 주파수 스펙트럼 비교
레퍼런스 트랙과 믹스다운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수정합니다.
⭐️ 모노 믹스
주파수 대역이 겹치는 부분을 강조합니다:
- 예: 일렉 기타 리프와 보컬의 주파수 대역이 겹치는 경우, 각 트랙의 주파수를 확인하고 서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여 조정합니다.
믹스 스테레오 필드 3차원
높이 (주파수 내용)
- 비교: 내 트랙과 레퍼런스 트랙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합니다.
너비 (스테레오 이미지)
- 패닝된 요소 확인: 어떤 요소가 패닝되었는지, 팬의 폭이 얼마인지를 확인합니다.
깊이 (볼륨 레벨, 리버브, 딜레이 등)
- 깊이 설정: 가까운 소리는 더 크고 명확하게 들립니다. 멀리 있는 소리는 리버브와 디케이를 이용해 더 원거리감 있게 만듭니다.
- 레퍼런스 분석: 레퍼런스 트랙이 소리를 배치한 방식을 파악하고, 필요시 소리를 더 뒤로 밀고 싶다면 볼륨을 낮추거나, 고주파수를 줄이거나, 잔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8주차를 마치며.....
무엇보다 레퍼런스도 중요하지만 , 자신의 의도가 무엇인지 판단을 해서 나아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. 레퍼런스는 잘못된 길을 가지 않도록
도와주는 길라잡이정도로만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!
'로직프로 정독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10주차(최종 음원 추출 및 유통) (1) 2024.07.12 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9주차(마스터링) (0) 2024.07.12 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7주차(사운드 디자인 요소) (3) 2024.05.10 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6주차(FX의 역할) (5) 2024.05.09 팝 프로듀서의 로직프로X 5주차(신디 사이저란?) (0) 2024.05.04